본문 바로가기
경제적 자유/경제적 자유를 위한 공부

경제적자유#29 작심삼일 벗어나기, 습관의 구조 이해하기

by 방구석포스트 2023. 10. 31.
반응형

우리 인간은 나쁜습관을 좋은습관으로 바꾸는것보다는

새로운 행동을 새로운 습관으로 만드는것이 훨씬 쉽고 제일 힘이 덜 들어간다.

예를들자면 흡연하는 사람들은 분명 담배가 몸에좋지도않고

끊고싶지만 매번 금연을하겠다고 마음을 먹어도 작심삼일 하는 경우도 굉장히 많을 것이다.

습관을 바꾸는 건 정말 어렵고 힘들다. 가까스로 습관을 바꾸었다고 해도 금방 원래대로 돌아가기 일쑤다.

그래서 그러한 습관을 바꾸기전에 이 습관이라는 것이 어떤식으로 만들어지고

어떤식으로 바꿀수가 있는지에 대해서 그 구조를 먼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수 있다.

오늘은 습관의 구조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다.

 

경제적자유#29 작심삼일 벗어나기, 습관의 구조 이해하기

 

그럼 뇌구조부터 시작하겠다.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게 습관도 기억력에 일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다.

우리가 어떠한 행동을 반복적으로하면 그것을 뇌가 기억을해서 나중에는 무의식적으로

그 행동을 하게된다 라고 많이들 알고있다 이 말은 어느 정도 맞는 말이긴하지만

조금 더 정확하게 내가 설명 한다면..

우리의 뇌부위에서 기억을 담당하는 부분은 해마라는 부위다 옛날에는 습관 또한

이 해마라는 부위에서 반복적인 행동으로인해 저장이되서 나중에는 무의식적으로 행동을 한다고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1900년도에 미국에 유진이라는 사람이 이러한 학자들의 이론을 완전 뒤집어 버린다.

이 유진이라는 사람은 학자가 아니고 일반 사람인데 이 사람이 어느날갑자기 불의에 사고로 뇌를 크게 다치는 사고가 발생한다. 그래서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부위도 크게 손상이 된다.

실제로 이사람은 새로운정보나 환경을 3초이상 기억을 못했다고 한다 자기 이름조차도 ..

그렇기 때문에 수시로 누가 옆에서 시중을 들어줘야했다

그래서 유진 옆에는 항상 그의 아내가있었는데 매일 하루도 빠짐없이 유진과 같이 산책을 같이했었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날 그 아내가 산책을 할시간인데 어떤 중요한 일을하느라 그걸 잊고있었다.

그러다 일을전부 끝내고 나니까 산책을 못한것이 생각이 났다. 그래서 유진을 데리고

산책을 하려고 거실로 가보니까 현관문은 열려있고 유진은 없어졌다

놀란 아내가 동네 이곳저곳 돌아다니면서 유진을 찾으러다닌다.

그 동네를 전체를 뒤졌는데도 유진의 모습은 보이지가않어

그래서 안되겠다 싶어서 집으로 돌아가서 경찰에 신고를 하려고하는데

유진이 거실 쇼파에 앉아서 티비를 보고있는 것이다.

그의 아내는 눈물을 흘리면서 어디갔었냐고 유진에게 물어보는데 기억을 못하는 유진은

뭐하는 소린가 싶어서 멀뚱멀뚱 쳐다만 봤다. 그래서 어느날 뭔가 이상해서 이러한 사실을

유진을 담당하던 의사한테 그의 아내가그 상황을 전부 말하게 된다.

그 의사는 뭔가 이상한것을 발견하고는 유진을 산책하는 시간에

혼자 무엇을 하는지 확인해보니 유진이 산책할시간이되면 알아서 일어나서

문을열고 매일 산책하던 코스를 꺼리낌없이 전부돌고 집으로와서 거실에서 TV를틀고

맥주를 마시면서 TV를보는 모습을보게 된다

이러한 모습을 뒤에서 지켜보던 의사는 놀라서

"어떻게 기억도 못하는 사람이 저런 행동을 할수있지? " 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래서 이 의사는 많은 학자들이랑 유진이 한 행동을 바탕으로

여러가지 연구를하고 실험을한 결과 습관은 해마와 상관이없다는 사실을 밝혀낸다.

바로 이 습관이라는것은 우리의 뇌의 기저핵 이라는 부위에서 담당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즉 뇌의 일부분이 망가져도 볼수있고 행동할수있고 기저핵이 살아있다면

습관은 저절로 이루어 진다는것이다

그리고 이 기저핵에는 습관 신경이라는것이 존재하는데어떤 습관에 지정된 신경경로가 자극을 받았을때

우리는 그 행동을 하고싶어하게 된다

예를들면 매일 아침마다 샤워하는 습관이 있다고 하면 아침이되면 이 샤워뉴런이 작동을해서

아무생각을 할 필요도없이 바로 욕실로 직행하게되

따라서 습관이 나쁜것이냐 좋은것이냐에 따라서 저주가 되기도 하고 축복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습관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자

습관은 전부 위의 그림처럼 3가지 형태로 만들어진다

신호 - 반복행동 - 보상

알아듣기 쉽게 설명을 하자면 흡연자들로 예를 들자면. 배가 너무아파서 화장실에가서 볼일을보는데

갑자기 담배가 너무 피고 싶어서 담배를 입에 물고 담배를 피니 행복하고 뭔지 모를 쾌락이 느껴지는 것??

화장실에서 볼일보면 담배가 땡김 <--- 신호

담배를 입에 물고 불을 붙임 <---- 반복행동

행복하고 뭔지 모를 쾌락 <--- 보상

대부분 자신이하는 반복행동은 알고있는데 신호와 보상이 뭔지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 신호와 보상을 정확히 아는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우리가 원하는 나쁜습관을 없앨수도있고

새로운 습관을 만들수도 있다.

반면에 나쁜 습관을 바꿀려면 반복행동과 보상을 바꿔주면 쉽게 해결할수가있는데

반복행동은 다른 행동으로만 대체하면되지만 보상을 설정하는것이 굉장히 굉장히 심하게 어려운 편이다.

 

마무리

1. 습관은 기저핵이라는 부분에서 활성화가된다

2. 모든 습관은 신호 ㅡ 반복행동 ㅡ 보상 으로 이루어진다.

3. 습관을 바꾸고싶다면 신호와 보상을 정확히 알아야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