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를 보는 눈/요즘 사회(해외)

경제적자유#8 4차산업의 중심, 21세기 no.1 회사. 아마존(Amazon)

by 방구석포스트 2020. 7. 26.
반응형

지난 시간에 새로운 4차산업의 도래를 소개했다.

4차산업혁명에 대해 알고 싶은 사람은 지난 포스팅을 참고하길 바란다.

 

경제적자유#7 곧 다가오는 가까운 미래 '4차산업혁명'

오늘은 4차산업의 중심. 유통공룡 아마존에 대해 소개하겠다.

 

경제적자유#8 4차산업의 중심, 21세기 no.1 회사. 아마존(Amazon)

 

4차 산업혁명에 들어서고 손안의 컴퓨터인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리테일의 개념이 크게 바뀐 것 같다

요즘 리테일의 개념을 뒤바꾸고 있는 아마존이란 기업을 자세하게 한번 알아볼까 한다.

 

 

 

 1.리테일이란 무엇일까? 

먼저 리테일이란 무엇일까? 영어로는 Retail, 한국어로는 '소매'라는 뜻이야 소매의 뜻은 대충을 알고 있을 것이다.

소매(小賣)란 산매(散賣)로 순화하기도 하는데 [물건을 생산자나 도매상에게 사들여 직접 소비자에게 판다]는 뜻이다.

 

인간의 역사에서 리테일이 없다면... 거의 모든 역사들이 설명 불가능할 정도로, 그 정도의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초기 물물교환부터 돈을 이용한 거라 한다. 시장과 상점의 탄생, 대형마트 그리고 최근 급성장 중인 편의점과

창고형 마트들까지 ~~~~~

 

이처럼 급변하는 시장속에서 소매에 대한 개념, 거의 모든 리테일의 정의를 뒤바꾸고 있는 회사가 있다

바로 유통공룡 현재 세계 모든 기업의 정점 아마존이다.

 

 

기업 로고에서 보이듯이 [당신에게 필요한 모든 것, a부터 z까지의 물건들을 판매합니다] 라는 슬로건을 가지고 있고

현재 미국 및 유럽, 전세계에서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중인 기업이다.

대한민국에는 진출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회사인지 잘 모를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영국계 컨설팅 업체 PwC가 지난 2년전에 발표한 '2018년 종합 소매업 보고서(TOTAL RETAIL 2017)에 따르면...

미국, 이탈리아, 일본, 독일 등 선진5개국에서는 아마존의 사용 비율이 무려 90%를 넘었다고 발표했다. 타 경쟁사의 생존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상황이다.

 

특히 세계 20대 선진국의 유통시장에서 아마존이 차지하는 비율이 56%에 달한다고 한다.

 

 

 

 

미국 IT업계에는 'GAFA'라는 말이 있어 최신 모바일 기술과 SNS시대를 이끄는 4대 IT업체를 일컫는 말인데

구글-애플-페이스북-아마존(Google-Apple-Facebook-Amazon) 이름의 앞글자를 딴 줄임말이다.

 

이 중에서 특히 이-커머스와 물류를 기반으로 한 아마존의 광폭 행보는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대상이 될 정도로 어마어마한 영향력을 자랑하고 있다

 

 

 

창립 초기 책부터 시작, 가격 파괴로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과 경쟁자들을 짓밟은 후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기존 리테일 부문을 하나씩 정복해온 아마존.

아마존이 상장 이후 기존 리테일의 강자 월마트의 기업가치를 따라잡는 데 18년이 걸렸지만, 그 이후 2배로 뛰는데는 2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쯤되면, 아마존이란 기업에 대해 궁금하지 않은지?

 

크게 두가지로 아마존의 리테일 전략에 대해 한번 알아보자!

 

 2.아마존의 리테일 전략

 

 

1. 공격적인 M&A

 

공격적인 M&A로 사업을 확장시키는 아마존이 지난 6월 16일 유기농 식료품 체인인 Whole Food Market (WFM)을 137억 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했어

 

아마존이 왜 WFM을 인수하려고 할까?

 

 

 

첫번째, Grocery Market, 식료품/신선식품은 연간 매출액이 7~8천억달러의 가장 큰 규모의 리테일 세그먼트로서, 현재 이 분야의 아마존의 점유율은 0.2%다

 

WFM의 점유율도 1.2%에 불과한데 이 둘이 합한다면 시너지가 엄청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참고로 월마트의 이쪽 점유율은 15%정도라고 한다

 

두번째, 식료품/신선식품의 온라인 쇼핑 비율은 2~3%내외로 다른 리테일에 비해 무척 낮은 수치다. 경쟁도 치열하고 부패하고 상하기 쉽기 때문이다

 

아마존도 쉽지 않았던 형국이었는데 이번에 인수한 WFM의 미국 전국 냉장 배송망, 460개의 매장과 40년의 경험과 노하우까지 얻을 수 있으니 금상첨화다.

 

세번째, 식료품/신선식품은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빠른 배송이 생명인데 WFM의 빠른 배송망과 많은 매장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식료품을 빠른 시간안에 배송받거나, 픽업하는 것이 가능해졌지 이건 다른 제품에도 적용 가능하다

 

 

 

 

 

WFM 인수의 결론은, Data와 Deep-Machine learning의 발달이다

 

온-오프라인 채널을 연계한 고객의 주문 및 배송 데이터를 확보하여 식료품/신선식품분야에서의 인공지능 개발이 가속화되어 새로운 혁신을 지금까지 실험적으로 운영해 온 계산대가 없는 매장인 Amazon Go가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마련되는 것으로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3. 아마존이 오프라인 식료품점을 오픈한 이유

 

왜 온라인 기업인 아마존이 오프라인 식료품점을 오픈했을까?

 

오프라인 온라인을 따지기 전에 그렇다면 왜 식료품점일까?

 

 

 

 

(출처 - 모건스탠리, 컨설팅 기업 칸타 리테일)

 

 1. 미국인들은 일주일에 1.5회 식료품점을 방문하고 있다어. 1회 지출 비용은 107달러, 1년이면 5500달러!?

 

 2. 아마존 프라임 회원 1년 구매액 2500달러 vs 일반 오프라인 식료품 구매액 5500달러

    아마존 회원이 식료품까지 아마존에서 구매한다면? 식료품을 구매하려는 일반 사람들이 아마존의 회원이 된다면?        어마어마한 규모일 것이다.

 

 3. 미국의 식료품 온라인 구매 비중 2% > 향후 5년간 34% 성장 전망

 

 

 

이것과 비교하여 아마존이 오프라인 식료품점을 오픈할 이유를 정리해보자

 

1. 아마존 프라임나우의 확장판이다.

  -  프라임 나우는 2014년 출시된 1~2시간 이내 배송 서비스로 2시간 배송은 무료, 1시간은 7.99달러야

     아마존의 big project가 바로 프라임나우의 확장인데 생각해보자 1~2시간 내 물건을 수령한다는 것은 월마트와 같은 오프라인 리테일러 와 아마존이 동일한 가치를 가진다는 의미인데 이러한 가치가 지속적으로 인식되면 고객이 더 이상 물건을 사러 오프라인 매장까지 가는 수고로움을 하지 않는다. 갈 필요성을 못 느끼는거야 즉, 아마존에 머무르는 시간이 더 길어진다.

 

2. 향후 프라임 회원 증가 및 충성도 위한 서비스, 추후 프라임 회원만 입장 가능하게 만들수도 있고 게다가 프라밍 회원만을 위한 할인까지 한다면...

 

3. 아마존 프레쉬(신선식품 당일배송 서비스)의 확장을 노릴 수 있으며

 

4. 보유기술(인공지능, 증강현실)에 FBA시스템(바코드, 라벨링)을 더해 무인점포의 운영능력을 기를 수 있어 다른 사업의 확장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최종적으로 물류회사로서 아마존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구분이 필요없어지게 되는, 궁극적인 목표인 셈이다.

 

 4. 아마존 프라임 서비스(Prime services)

 

 

 

아마존의 리테일 전략, 두번째로는 바로 프라임 서비스와 웹 서비스다.

 

위에서도 잠깐 프라임나우라는 서비스로 언급했었는데 프라임은 아마존닷컴의 유료회원제 서비스로

연회비가 99달러인 프라임 서비스에 가입하면 어떤 혜택들을 받을 수 있는지 간단하게 정리해보자

 

1. 2일 내 배송

2.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3. 영상 콘텐츠, 독자적인 OTT서비스 (영화, TV 프로그램)

4. 크라우딩 사진 저장 공간

5. 워싱턴 포스트 구독

6. 킨들 전자책 도서관

7. 프라임 나우(위에서 설명한 2시간 총알배송)

8. 기프트 카드

 

일단 이정도인데 정말 어마어마하지? 얼핏 살펴봐도 엄청난 혜택들인데 일단 이 아마존 프라임에 들어오면 빠져나오기 어렵다.

 

현재 아마존 가입자는 1억 1천 7백만명, 미국 전체 인구의 1/3이며, 그 중 아마존 프라임 서비스의 가입자는 6300만명 정도로 약 1/2가량이 유료회원이다

 

아마존 프라임 서비스의 회원들은 1년 계약이 끝난 후 재계약률이 무려 92%에 달한다고 해 많은 서비스들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재계약율의 1등공신은 바로 OTT서비스다.

 

 

 

OTT서비스란 Over-the-top content의 줄임말로 인터넷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 영화, 교육 등 각종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려는 서비스를 말한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에서 어멍난 인기를 끌고있는 넷플릭스가 대표적인 예 이다.

 

미국의 OTT가입자는 미국 브로드밴드 가구의 60%에 달해, 이 중 비율은 넷플릭스 50%, 아마존 프라임 25%, 훌루 13%정도로 나와있다

 

미국 가입자의 40%정도가 2개 이상의 중복가입을 하고 있는데 이 이유는 각각의 OTT사업자가 제공하는 독점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다.

아마존은 프라임 서비스의 차별화를 위해 2012년부터 '아마존 스튜디오'를 출범, 자체 영화 및 드라마를 제작하고 있다.

 

특히 올해 2017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는 맨체스터 바이 더 씨와 세일즈맨이 각각 각본상과 남우주연상,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아마존 스튜디오나 넷플릭스와 같은 OTT서비스 업체가 권위있는 영화제에서 수상을 한다는 것은 재미와 함께 작품성 있는 완성도 높은 콘텐츠를 제작한다는 의미다. 아마존은 더 많은 콘텐츠 제작에 투자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그럼 위에서 말한 OTT 업체들의 독자적인 콘텐츠 제작 이유를 요약해보자

 

1. 독점 콘텐츠 제공을 통한 차별화

 - 잘 만든 콘텐츠로 따로 광고를 하지 않아도 프라임 서비스를 가입하게 만드는 서비스경쟁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2. 콘텐츠 수급 협상력

 - 외부에서 콘텐츠를 수급해야하는 사업구조는 결국 콘텐츠 가격 인상에 취약할 수 밖에 없어 과거 넷플릭스는 타 기업과 콘텐츠 구매

   재계약 시 10배 가격 인상을 경험한 후 자체 제작에 나섰다고 해

 

3. 지속성장

 - 자체 제작한 오리지널 콘텐츠로 저작권 문제를 보완하고 글로벌 지역으로 확장해가면 이는 프라임 서비스의 가입자 증가로 이어지고 매출이 증가하는

   선 순환의 구조로 이어질 수 있어

 

4. 다른 비즈니스 보완재

 - 아마존 프라임 서비스의 VOD 무료제공은 프라임 서비스 재계약율 92%의 1등공신이야 콘텐츠 서비스를 통해 충성고객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돼

 

 

 

 

 5. 아마존 웹 서비스(Web services)

 

 

 

 

아마존 웹 서비스는 세계 최대의 크라우딩 컴퓨팅 플랫폼이야 서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개발자들이 간편하게 최적화를 할 수 있도록 각종 툴을 제공하는데 세계 대부분의 스타트업은 물론 애플 iCloud, CIA까지 아마존 웹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

도이치뱅크는 앞으로 5년 안에 아마존 웹 서비스의 수익이 아마존 자체보다 커지리라 예상했어 이에 따르면 앞으로 아마존은 서점 회사도, 커머스 회사도 아닌 '서버 제공 회사'로 진화중인 셈이지

 

 

 

3. 아마존의 궁극적인 목표

 

앞에서 이야기한 아마존 프라임은 현재 아마존의 핵심 사업이며, 아마존 웹 서비스는 아마존의 미래를 책임지는 유망주라고 비교할 수 있을 것 같아

 

이 두가지는 아마존이 더 큰 밑그림을 그리기 위한 수단이다

바로 '사람의 시간을 지배하는 생태계' 로서의 아마존으로 진화하기 위해서다.

 

아마존 프라임으로 사람들의 구매를 장악

 

아마존 웹 서비스는 데이터를 장악

 

아마존 워싱턴 포스트는 미디어, 즉 정보 전달을 장악

 

아마존 에코라는 가상 비서를 통해 일상을 장악

 

아마존 스튜디오를 통해 오락 및 여가를 장악

 

 

아마존의 생태계에 편입되면 빠져나오기 힘들다. 너무나도 편리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서비스가 하나로 합쳐져 유기적인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모두 개인의 '시간'을 장악하려는 시도다.

 

 

 

 

한때 한국 재벌의 문어발 경영이 비판의 대상이 된 적이 있던 거 기억나는 사람 있을까? 대표적으로 카카오가 이런 비난의 뭇매를 맞았다.

그런데 아마존은 더욱더 무섭고 체계적이야 치밀하게 사람들이 필요한 서비스를 하나하나 추가해가며 아마존 제국에 모든 개인이 편입되기를 권유하고 있다.

 

 

더욱 무서운 점은 이 모든 일이 조용히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구글이나 애플과는 달리 아마존의 CEO 제프 베조스는 조용히 차곡차곡 자신의 생태계를 키워가고 있다. 미국의 소매시장 60%를 차지하고 있는 아마존은 이제 세계를 정복해 나갈 것이다.

 

 

마무리

 

1. 검색과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80%가 넘는 모바일 생태계를 구축한 Google

2. 아이폰과 아이패드 및 맥 컴퓨터를 통해 '단일 OS' 기반의 10억대 기기와 높은 구매력, 충성스러운 고객으로 구성된 생태계를 가진 Apple

3. 리테일 분야를 넘어 클라우드 서비스, 프라임 서비스를 기반으로 일상 곳곳으로 퍼져나가고 있는 Amazon

 

이 세 거인들은 결국 맞붙게 되어있다. 이 거대한 싸움의 승자는 누가 될까? 아니면 상호보완하며 공존하게 될까?

귀추가 주목된다.

반응형

댓글